산업안전 story/사업장 안전관리

중대재해예방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안전보건커뮤니케이터 김국장 2024. 7. 5. 22:50

#회원이야기 #유용한정보

경총에서 진행하는 '중대재해 예방 및 대응 핵심 전략과정'에 참여중입니다.

교육 중 2교시에 진행된 안전보건공단 서울광역본부 고광재 본부장님의 '중대재해예방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우수 사례'에 대한 강의 내용을 정리해서 공유드립니다.

업무에 참고가 되시면 좋겠습니다 ~

p.s) 기업의 중처법 대응 담당자분들께 실무에 도움되는 유용한 내용들이 많네요. 기회가 되시면 참여해 보시길 강추드립니다.


---------- << 중대재해예방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우수 사례>> -----------



1.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하라 (경영자 리더십 중요)
(경영자가 확고한 안전보건 의지와 비전을 제시하고, 인력, 시설, 장비등 지원)
- CEO와 본사 경영진이 전국 사업장을 방문하는 '안전멘토링 제도'
- CEO주관 안전전검위원회 개최
- 승진시험에 안전보건 평가, '부서 안전보건관리 평가제도' 운영

2. 위험성평가를 실시하라(근로자 참여)
- 위험요소 발굴 Safety Map
- 안전신문고 app (밴드, 카톡, 신고함설치 등 다양한 방법으로 근로자의 위험관리 참여)
- work stop 신고제도 활성화
- DuPont 안전관찰 프로그램 운영(작업자 행동 관찰->안전행동 칭찬과 격려-> 불안전한 행동 교정유도)
- 근로자 참여 중심의 TBM

3. 고위험(SIF)에 집중 관리하라
- 유해위험요인의 정도를 제대로 알면 산재예방에 매우 효과적(위험을 보는 것이 안전의 시작)
- 잠재위험 발굴 제거 위한 '안전보건 모델라인'
- '가상재해 토론회' 통해 위험요인 발굴 개선(안전순찰 점검시 파악된 위험요인과 작업에 대해 월 1회가상재해 토론)
- 화학물질 'life cycle' 관리시스템
- 스마트 안전시스템 구축

4. 유해위험요인을 제거, 대체 및 통제하라
- 위험요인 제거,대체, 통제시 '사람은 실수하고 기계는 고장날수 있다'를 인정하고 관리

5. 협력업체(도급업체)를 관리하라
- 도급업체 선정시 평가제 도입(안전관리 적격성 검증)
- 도급업체 안전역량 평가 지원
- 작업착수 신고제운영(모든 작업에 사전 작업착수신고 작성제출 의무화)
- 공사인증제 통한 도급사 안전확보

6. 노사가 함께 하는 안전문화를 만들어라
-자체/내부감사 통한 안전평가(반드시 공개)
-최고경영자부터 현장 일반사원까지 '현장 Audit' 활용
-안전경영 5대 체계운영(인식-> 개선-> 예방-> 대응-> 진단) 통해 위험요인 '발굴-평가-개선'시스템 구축

7. 위기관리시스템을 구축하라(구조팀, 대응팀, 복구팀 나눠서 구축)
1)구조팀: 구조하는 팀은 구조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부서를 운영
2) 대응팀: 고용부 신고, 유가족 대응 및 장례진행, 구조진단, 유사 공정에 대한 사고 예방 개선활동 시행
3) 복구팀: 고용부 작업중지해제 신청, 언론 및 법적대응 등 회사 조직의 정상화하는데 집중
=> 비상조치체계가 사전에 필요한 이유(작업중지 해제까지 보통 2달이 걸린다.)
사전에 각 팀들이 미리 구축되서 사고발생시 동시에 운영되야 작업중지 기간 및 기업의 정상화를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결론)  see- look at- watch - insight 가 중요
* see- 근로자(안전은 보는것에서 시작, 근로자의 위험 인지가 중요)
* look at - 관리감독자(보이지 않는 위험을 관리, 현장을 가장 잘 아는 사람),
* watch- 안전관리자(안전보건 전문가들이 발생할수 있는 위험을 예상하고 대안을 찾을수 있어야 함),
* insight- 경영자(조직 전체 안전을 볼 수 있는 경험과 넒은 시야, 안전리더십 필요),
예-장님의 등불(자신이 볼수 없으니 타인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부딪히지 않도록 위험을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