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의 질향상을 높이기 위해 모두의 관심이 필요하여 '산업보건학회'의 최상준교수님의 글을 공유합니다.(교수님의 허락하에 공유하는 글입니다^^)
보건관리자의 낮은 처우문제에 대해서는 예전부터 알고는 있지만, 예전이나 지금도 낮은 수준에 머물며 개선이 안되고 있는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현장에서 정말 많은 근로자들이 입사하여서 퇴사하기 까지,,
건강히 입사해서 아프지않고, 다치지 않고 무사히 퇴직하는 것이 너무도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일이지만,
그 당연히 여겨지는 것을 지켜내기 위해 보이지 않는 곳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보건관리자분들의 헌신과 노력을 다시 한번 기억했으면 좋겠습니다.
특별히 건설현장에서 현장작업자들의 보건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여성보건관리자가 느끼는 애로사항이 더 심한것 같습니다. 일용직으로 임하는 작업자들의 신입교육부터, 심혈관계질환과 관련되어 유질환을 가지고 있는 현장작업자의 업무투입과 관련되어 발생되는 마찰등에서 업무의 어려움을 느낀다고 합니다.
산업재해의 사망사고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건설업은, 2019년부터 2020년에 이르기까지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도 집중적인 관리를 하는 분야입니다.
위험이 사방에 도사리고 있는 건설현장에서 그분들의 안전과 건강을 지켜내기 위해 애쓰고 계신, 안전관리자와 보건관리자분들의 업무 처우 개선이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대구가톨릭대학교 전보건의 질향상을 높이기 위해 모두의 관심이 필요하여 '산업보건학회'의 최상준교수님의 글을 공유합니다.(교수님의 허락하에 공유하는 글입니다^^)
보건관리자의 낮은 처우문제에 대해서는 예전부터 알고는 있지만, 예전이나 지금도 낮은 수준에 머물며 개선이 안되고 있는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현장에서 정말 많은 근로자들이 입사하여서 퇴사하기 까지,,
건강히 입사해서 아프지않고, 다치지 않고 무사히 퇴직하는 것이 너무도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일이지만,
그 당연히 여겨지는 것을 지켜내기 위해 보이지 않는 곳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보건관리자분들의 헌신과 노력을 다시 한번 기억했으면 좋겠습니다.
특별히 건설현장에서 현장작업자들의 보건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여성보건관리자가 느끼는 애로사항이 더 심한것 같습니다. 일용직으로 임하는 작업자들의 신입교육부터, 심혈관계질환과 관련되어 유질환을 가지고 있는 현장작업자의 업무투입과 관련되어 발생되는 마찰등에서 업무의 어려움을 느낀다고 합니다.
산업재해의 사망사고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건설업은, 2019년부터 2020년에 이르기까지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도 집중적인 관리를 하는 분야입니다.
위험이 사방에 도사리고 있는 건설현장에서 그분들의 안전과 건강을 지켜내기 위해 애쓰고 계신, 안전관리자와 보건관리자분들의 업무 처우 개선이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대구가톨릭대학교 최상준교수님께서 이러한 건설업의 보건관리자들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그와 관련된 자료를 함께 공유드립니다.
함께 관심을 가져주셔서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는 안전보건관리자들의 처우가 개선되는데 좋은 영향을 미치기를 바랍니다.
각 사업장과 의료기관에서 안전보건에 힘쓰시는 모든 분들. 힘내십시요~
- 아래는 산업보건학회밴드에 게시되었던 최상준교수님의 게시글을 발췌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상준입니다.
모두 건강하시죠.
건설업 보건관리자, 특히 여성 보건관리자들이 직장내 성희롱을 비롯한 괴롭힘 사례가 많아 이직이 심하다는 의견을 받아 온라인 설문으로 실태조사를 해보았습니다.
실태가 심각하다고 생각하여 학회 밴친님들과 결과를 공유하고자 자료를 올립니다.
추후 학회차원에서도 개선 노력을 모색하려고 합니다.
'산업안전 story > 건설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이 추락한다. 사람이 추락한다 (0) | 2020.07.28 |
---|---|
건설업의 안전보건실태 - 안전보건뉴스를 읽고서 (0) | 2020.05.31 |
스마트건설- 포스코건설(토탈정보공유시스템)을 구축하다 (0) | 2020.05.31 |